반응형
가계 순저축률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저축률은 저축액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 마찬가지로 가계 순저축률은 가계부문의 순 저축액을 가계 순 처분가능소득과 정부로부터 받은 사회적 현물이전 금액, 연금기금의 가계 순 지분 증감조정액을 합계한 금액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여기서 사회적 현물이전이란 정부 등이 가계에 현물이전의 형태로 제공하는 재화 및 서비스로서 무상교육, 보건소의 무상진료 등이 해당합니다.
또한, 연금기금의 가계 순 지분 증감조정액을 분모에 더하는 이유는 퇴직연금 등과 같이 가계가 납부한 연금 부담금과 연금 수취액의 차액을 반영해야 가계부문의 저축액을 정확히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계 순저축률은 가계부문의 저축성향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계 처분가능소득은 가계가 맘대로 소비와 저축으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하며 저축률은 100에서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중 최종 소비를 목적으로 처분된 재화와 서비스의 비율인 소비율을 차감한 것이며 총저축은 국민총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하고 남은 부분이며 평균저축성향은 1에서 평균소비성향을 차감한 것입니다.
가계신용 통계란?
가계부문의 대한 신용공급 규모를 나타내는 통계입니다. 가계신용은 금융기관뿐 아니라 정부, 판매회사 등 기타 기관이 가계에 제공한 대출과 외상구매 관련 신용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크게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으로 구분됩니다. 가계신용통계는 우리나라 가계부문의 부채 규모 및 변동 등을 파악하는 데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잡다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순응성이란? (0) | 2023.03.06 |
---|---|
환매조건부매매(RP or Repo) 정의 (0) | 2023.03.05 |
OECD 기준 중산층이란, 우리나라 사람들이 생각하는 중산층 기준 (0) | 2023.03.03 |
꼰대의 뜻, 라테는 말이야!(나 때는 말이야!), (0) | 2023.03.02 |
개발이익이란, 초과 이익환수제란, 재건축 초과 이익환수제 시행 이유 (0) | 2023.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