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미국은 엄청나게 추운 겨울을 맞이하고 있다고 합니다. 북극의 제트 기류가 북아메리카까지 내려와 영하 40도에 육박하는 날씨를 맞이한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은 바로 라니냐라고 합니다. 오늘은 라니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라니냐
라니냐는 적도~ 위도 30도 상의 대기에서 부는 바람을 일컫는 말입니다. 지구의 자전으로 인하여 일정한 바람이 불게 되는데, 평소보다 강하게 부는 현상을 라니냐라고 합니다. 따뜻한 바닷물이 라니냐로 인하여 더 멀리 가게 되면서, 태평양의 온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지구 전체의 환경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사실, 라니냐의 반대인 엘니뇨와 라니냐는 서로 독립적인 현상이 아니라, 반대 위상을 가지는 자연계 진동입니다. 그러나 진동의 주기는 대기와 해양의 복잡한 상호 작용으로 인해 2~7년 정도의 일정하지 않은 주기를 가집니다.
라니냐로 인한 날씨
라니냐 현상의 발생은 전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데요. 라니냐 현상이 발생했을 경우 날씨의 특징에 대해 여름과 겨울에 나누어 알아보겠습니다.
여름
라니냐 현상이 발생했을 경우 여름의 기온이 높아져 무더위가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라니냐 현상이 발생하면 서태평양 열대 역의 해수면 수온이 상승하고 서태평양 열대 역에서 적란운 활동이 활발해집니다. 즉, 여름에는 태평양 고기압이 북쪽으로 돌출하기 쉬워집니다. 일부 지역 남쪽에서는 축축한 기류의 영향을 받기 쉬워져 강수량이 많아지는 경향도 있습니다.
겨울
라니냐 현상이 발생하면 겨울의 기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라니냐 현상이 발생하면 페루 앞바다의 해수면 수온이 계속 떨어지고 필리핀 부근을 중심으로 한 해수면 수온은 평년보다 높아집니다. 이에 따라 구름을 많이 발생시켜 강한 상승 기류가 발생합니다. 상승 기류가 겨울의 고기압을 강화하기 때문에 한기가 흐르기 쉬워집니다.
라니냐 예상
엘니뇨 예측 모델은 엘니뇨 감시 해역의 해수면 수온이 향후 겨울에 걸쳐 기준치보다 낮은 값으로 추이 할 것으로 예측되며, 향후 겨울에 걸쳐 라니냐 현상이 계속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합니다. 이러한 예상치와 더불어 라니냐가 언제 끝날 것인지는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기상적인 측면에서의 문제가 전 세계의 곡창지대에서의 곡물 생산량과 크게 연관이 있기 때문인데요. 지구의 자연 순환은 정말 엄청나고, 자연 앞에서는 한없이 작아지는 것이 느껴집니다.
'공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원(Reduction)이란 무엇인가? (0) | 2023.03.12 |
---|---|
귀무 가설과 대립 가설 (0) | 2023.03.11 |
백신이란?(생백신과 사백신) (0) | 2022.12.19 |
도체, 절연체, 유전체란? (0) | 2022.12.14 |
수력 발전에 대해 알아보자!(원리, 정의, 종류, 규모) (0) | 2022.1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