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계를 공부할 때 ,많이 나오는 것이 있죠. 바로 귀무 가설과 대립 가설입니다. 오늘은 귀무 가설과 대립 가설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귀무가설이란 무엇인가?
귀무 가설은 다른 말로 영가설 또는 무효화 가설 등으로 부릅니다. 보통 우리가 알고자 하는 모집단의 특성에 대한 잠정적인 주장입니다. 보편적으로 알려진 기존의 사실을 가설로 설정하는데요. 기존의 사실과 다른 바 없다고 주장할 때 사용하는 가설입니다. 그리서 보통 귀무 가설은 "A와B는 관계가 없다.", "A와B는 차이가 없다." 등으로 설정됩니다.
대립 가설이란 무엇인가?
대립 가설은 귀무 가설이 기각되면 대안으로 채택되는 가설입니다. 표본에서 나타난 어떤 특징이 모집단에도 적용될 것이라는 가설이죠. 즉, 내가 증명하고 싶은 내용을 가설로 설정합니다. 보통 "A와B는 관계가 있다.", "A와B는 차이가 있다." 등으로 설정됩니다.
반응형
'공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물과 무기물, 유기물과 무기물 차이점 (0) | 2023.04.25 |
---|---|
환원(Reduction)이란 무엇인가? (0) | 2023.03.12 |
라니냐란? (0) | 2022.12.28 |
백신이란?(생백신과 사백신) (0) | 2022.12.19 |
도체, 절연체, 유전체란? (0) | 2022.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