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한이야기

감염성 심내막염이란 진단과 치료

by 바닐라라떼최고 2023. 1. 16.
반응형

심장
출처 : Wiki

감염성 심내막염이란 무엇인가?

감염성 심내막염은 미생물이 혈액으로 들어가서 심장에 감염을 일으켜 발생하는 질병을 말합니다. 이런 감염은 특히 심장판막에 쉽게 염증을 일으키고, 염증이 생긴 부위에 세균과 혈전 등이 쌓일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판막이 이미 손상되었거나 판막 치환술을 받았다면 훨씬 더 감염되기 쉽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의 감염성 심내막염은 발열과 관절통 같은 분명치 않은 증상을 일으키며 몇 주 또는 몇 개월 이상 진행하는 만성질환입니다. 드물게 급성 심내막염에 걸리면 심장판막을 빠른 속도로 손상할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급성 심내막염은 며칠 내에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급성 심부전으로 진행되기도 합니다.

 

병태생리

심장 안에서 혈류가 소용돌이치면서, 이전에 손상당한 판막이나 다른 심 내막 표면에 원인 균주로 바이러스의 감염을 일으키며 발생합니다. 심내막염 과거력이 있는 환자, 인공판막 수술 받은 환자, 후천적 판막질환과 심장 관련 질환이 있는 환자, 류머티즘성 심장질환(예:승모판막역류증), 마르판증후군, 심근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세균이 심 내막에 잘 들러붙어, 심내막염 발생 가능성이 커집니다.

 

치료되지 않는 경우 100% 사망률에 이릅니다.

 

 

치료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인공판막을 가진 환자는 반코마이신 + 젠타마이신 + 리팜핀을 투여합니다. 자연 판막을 가졌으며 지역 사회 감염이 의심되고 MRSA 가능성이 낮은 경우엔 나프실린 + 페니실린 + 젠타마이신을 투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