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2 꼰대의 뜻, 라테는 말이야!(나 때는 말이야!), 꼰대의 뜻 꼰대 뜻을 보면 은어로 늙은이라고합니다. 학생들이 선생님을 이르는 말이기도 하고요. 그런데 요즘에는 늙은이나 선생님을 이르는 말이 아니죠. 자기 직장 상사를 말하거나, 선배를 이를 때 씁니다. 기성세대를 말할 때 쓰는 말이 된 것이죠. 모든 선배나 기성세대에게 쓰는 것은 아닐 테고 꽉 막힌 자기들 세대의 것이 정답인 양 이야기하는 사람들의 아니꼬운 태도가 꼰대가 되는 것 같습니다. 라테는 말이야!(나 때는 말이야!) "라테는 말이냐" 라테는 무슨 말일까요? 이 말은 "나 때는 말이냐"를 외치는 꼰대들의 말투를 희화한 말입니다. 바로 우유를 뜻하는 이탈리아어 라테 Latte에서 파생된 말로 과거 자신이 젊었을 때 이야기를 마치 현재 상황인 것처럼 말하는 행위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상사가 신입.. 2023. 3. 2. 개발이익이란, 초과 이익환수제란, 재건축 초과 이익환수제 시행 이유 초과 이익환수제란? 초과 이익환수제는 주택가격이 많이 상승했던 2006년도에 도입이 되었으나,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시장을 위축시킨다는 이유로 2013~2017년 말까지 4년간 한시적으로 제도 유예가 되었습니다. 2018년 1월부터 부활했습니다. 이 제도는 재건축 종료 시점 집값 즉, 준공을 인가받은 때의 집값에서 개시 시점추진위원회가 설립된 시점 집값 및 정상주택 가격 상승분, 개발비용을 모두 뺀 금액이 1인당 3,0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초과 금액 구간별로 10~50% 누진과세를 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토지로부터 발생하는 개발 이익을 환수해 이것을 적정하게 배분하여 토지에 대한 투기를 방지하고,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목적으로 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단, 여기서 재개발이나 리모델링.. 2023. 3. 1. 디플레이션 뜻 디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물가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중요한 경제개념이 디플레이션입니다.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해서 떨어지는 현상이며, 디플레이션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가계는 필수재가 아닌 한 소비를 미루게 되는데, 시간이 더 흐를수록 상품을 더 싸게 구매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로 인한 경기침체가 발생합니다.이에 따라 기업의 매출과 이익은 줄어들고 고용이 축소됩니다. 고용이 줄면 가계소득이 감소하고, 이는 결국 소비를 감소시켜 물가를 더욱 떨어뜨립니다. 한 나라 경제가 이런 상황일 때 “디플레이션 함정에 빠졌다고 합니다. 일본 경제가 1990년 거품이 붕괴한 이후 20여 년 동안 이런 디플레이션을 겪었습니다. 2023. 2. 28.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의 차이점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공산주의는 사회주의의 이상적인 아이디어이며 사회주의의 진화된 버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회주의에서 국가는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을 통제하고 국민의 급여도 국가에 의해 관리되고 분배됩니다. 반면에, 공산주의에서는 모든 혜택을 처음부터 모든 사람이 공유하며 국가의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구소련 붕괴 이후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의 차이가 흐려졌고, 오늘날은 대부분 그 의미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2023. 2. 27.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3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