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다한이야기

PBR(Price Book 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이란 무엇인가?

바닐라라떼최고 2022. 12. 26. 23:25
반응형
 
안녕하세요. 실내에 있으면 더운데, 밖으로 나가면 엄청나게 추워 실내에 꼭 숨어있는 요즘입니다. 건강관리 유의하시길 바라요. 오늘은 제무재표 상에서 알 수 있는 정보 중 하나인 PBR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그래프
출처 : Public Domain Vectors

PBR(Price Book value Ratio, 주가 순자산비율)은 무엇인가?

​기업의 자산가치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경제학적 용어입니다. 1주당 주식의 가격 / 주당 순자산가치로(BPS)로 나눈 값이 PBR입니다.

주당순자산가치(BPS)는 다음 URL을 참고해주세요.

https://curiousthing.tistory.com/13

 

BPS(Book value Per Share) 주당 순자산가치란?

안녕하세요. 어제 온 눈이 녹아서 길이 빙판길로 변했네요. 다들 운전 조심해서 하셔요. 오늘은 제무재표에서 알 수 있는 BPS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BPS란 무엇일까요? 영어로는 Book value Per

curiousthing.tistory.com

 

주가가 현 자산 대비 1주당 얼마만큼의 비율로 거래되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가 바로 PBR입니다. 자산은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을 의미합니다.

 

PBR의 함의

PBR이 높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회사의 자산 대비 주가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현재 가치보다 높은 미래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시장에서 판단하는 것이죠. PBR이 낮다는 것은 회사의 자산 대비 저평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투자할 때, 참고 지표용으로만 보시길 바라요.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 없어요.

 

오늘은 PBR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기억하기 쉽게 "자산 대비 주가의 비율"이라고 기억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경제는 덩쿨처럼 엮여져 정말 재미있는 것 같습니다. 머리 아파도, 차근차근 공부하다보면 경제의 신이 되겠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