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 예정일 계산 방법 종류
네겔식 계산법
마지막 생리 달수에서 3을 빼거나 뺄 수 없을 때는 9를 더하고, 마지막 생리를 시작한 날짜에 7을 더하는 계산법입니다.
예시) 마지막 생리를 시작한 날이 4~12월인 경우 : (a-3) 월(b+7) 일 ☞마지막 생리를 시작한 날이 1~3월인 경우 : (a+9) 월(b+7) 일
기초체온 확인법
기초체온이란 3시간 이상 잠을 깊이 잔 다음 잠에서 깬 직후 곧바로 측정한 체온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배란하기 전에는 체온이 36.3~36.6℃를 유지합니다. 배란 후 임신이 되지 않으면 생리가 시작되면서 체온은 다시 떨어지게 됩니다. 임신이 된 경우는 출산 때까지 계속 36.8 ~ 37℃를 유지합니다.
배란되기 전의 체온을 저온기, 임신이 된 경우 체온기를 고온기라 부르며 고온기 때 평균 체온과 저온기 때 평균 체온의 차이는 0.55℃ 정도이며, 3~4개월간 꾸준히 측정해야 정확히 알 수 있으므로 평소 기초체온을 재어 기록해두어야 합니다. 단, 경구 피임약 복용 시 정확한 결과를 알 수 없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체온이 저온을 나타내는 기간 중 마지막 날을 배란일로 생각하고 여기에 26일 더해 출산예정일을 산출합니다. 하지만 배란일에 꼭 임신이 되는 것은 아니므로 병원에서 산출하는 결과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초음파
임신 5주부터는 초음파 검사로 임신 여부와 태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머리끝부터 엉덩이까지의 길이를 측정해서 수정된 날짜를 계산하는 방법이 일반적인데 개월에 알맞은 태아 성장의 평균치와 비교해서 출산예정일을 유추하게 됩니다.
이 방법은 주로 임산부가 마지막 생리 날짜를 모르거나 생리 주기가 불규칙한 경우에 사용하게 됩니다. 단 임신 12주가 넘어가면 태아마다 성장 발달에 차이를 보이고 신체 일부분으로만 태아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예정 이를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어렵다. 또, 의사마다 초음파 판독 의견이 다를 수 있으므로 예정일은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출산 예정일의 정확도
출산 예정일은 100% 정확하지 않다. 다양한 방법으로 출산 예정일을 계산했습니다. 하더라도 예정일에 지나치게 구애받을 필요는 없습니다. 대게 80% 이상의 임신부가 출산예정일보다 빠르거나 늦게 출산합니다, 초산부는 예정일보다 늦게, 경산부의 경우는 빨리 낳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런데도 출산 예정일을 알아보는 이유는 태아의 발육 상태를 체크하고 임산부가 그 단계에 맞는 임산 생활을 하도록 돕는 데 있습니다.
'잡다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파 고르는 법 꿀팁 (0) | 2023.03.27 |
---|---|
팽이버섯 특징, 팽이버섯 성분과 열량, 팽이버섯 효능 (0) | 2023.03.26 |
비트의 효능 총정리 (0) | 2023.03.24 |
캐모마일 차 영양성분, 캐모마일 차 효능 총정리 (0) | 2023.03.23 |
임신중 성관계 해도 될까?(시기별 총 정리) (0) | 2023.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