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한이야기

마늘의 효능, 좋은 마늘 고르는 법, 구운 마늘과 생마늘, 마늘 부작용

by 바닐라라떼최고 2023. 4. 4.
반응형

마늘
출처 : pxhere

마늘의 효능

혈관 건강

마늘의 알리신과 스콜 지닌 성분은 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순환을 좋게 해 주며, 체내의 중성지방과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고지혈증과 고혈압, 심근경색, 부정맥, 협심증, 뇌졸중, 뇌경색 등 혈관 질환을 예방하고 개선합니다.

 

간 기능 개선

마늘에 함유된 시스테인과 메싸이오닌 성분이 강력한 해독작용을 하여간 기능 강화에 도움을 주어 간 기능 강화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비타민 A, B, C가 풍부하여간 기능을 활성화하고 염증 치료 및 지방간에 도움이 됩니다.

 

피로 해소

을의 알리신이 비타민 B1과 결합하여 신체 대사 기능을 증가시키고, 피로 해소에 도움을 주며, 피로를 유발하는 젖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알리티아민 성분이 풍부해 만성피로에 좋습니다.

 

고혈압 예방

마늘에 함유된 칼륨 성분은 체내 나트륨 배출을 돕고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여 고혈압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당뇨 예방

인슐린의 분비를 원활히 하며, 혈당 상승을 억제하고, 공복혈당장애를 등의 당뇨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좋은 마늘 고르는 법

크기와 모양이 균일하고 윤기가 흐르는 것이 좋습니다. 묵직하고, 통통하며 단단한 마늘을 고릅시다. 마늘 사이의 골이 뚜렷하고 빈틈이 없이 선명한 것이 좋습니다. 마늘의 겉껍질이 담갈색이나 담적색이 좋습니다.

 

알의 수가 많은 것보단 68쪽 정도의 마늘이 좋습니다. 겉껍질과 속껍질이 얇고 단단히 붙어있는 마늘이 좋은 마늘입니다. 햇마늘은 건조가 잘 돼야 저장성이 좋습니다. 저장 마늘은 발아되지 않고 싹이 돋지 않으며 변색하지 않은 것이 좋습니다.

 

구운 마늘과 생마늘

이렇게 우리 몸에 굉장히 좋은 마늘이지만 생마늘을 그대로 복용했을 때 치명적인 단점도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바로 위벽을 상하게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위장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생마늘을 조금만 섭취해도 위 기능을 약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마늘을 익혀서 섭취해야 합니다. 그럼, 생마늘과 구운 마늘의 효능에 차이는 있을까요?

 

결론적으로 효능에 차이는 있다고 하는데요. 열을 가해서 마늘을 익히게 되면 매운맛이 나는 알리신 성분이 파괴됩니다. 알리신 성분이 파괴된다는 건 마늘의 항균. 살균 기능이 떨어진다는 말이 됩니다. 하지만 장점도 있습니다. 구운 마늘은 살균과 항균 효과는 다소 떨어질 수 있지만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활성도가 대략 50배 정도 비약적으로 상승합니다.

 

그리고 단맛이 나고 매운맛은 사라지는 등 누구나 섭취하기 아주 편하게 변화합니다. 결국 마늘의 효능은 생으로 먹나 구워 먹나 우리 몸에 아주 좋은 것만은 확실한 듯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구운 마늘과 생마늘 둘 중에 어떤 게 더 몸에 좋은지 말하는 건 어려울 것 같습니다. 각자의 건강에 따라 섭취하는 방법이 다를 뿐이니 기호에 맞게 섭취하면 좋을 듯합니다.

 

마늘 부작용

마늘의 부작용은 위에서도 잠시 언급했지만 소화기관을 중심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물론 부작용의 경우 알레르기를 제외하면 과다섭취를 했을 시 나타 날 수 있습니다. 너무 많이 섭취를 했을 시 위벽에 자극을 가해 복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마늘을 익혀서 먹게 되면 이런 부작용은 어느 정도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한, 소화기관에 문제가 생기게 되면 피부염이나 구내염등이 생길 수 있으니 생마늘은 자신의 컨디션이나 위장 상태에 따라 섭취하도록 합니다. 위장이 안 좋으면 웬만하면 익혀 먹는 게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