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한이야기

RBC(Risk-Based Capital) 비율에 대해 알아보자.

by 바닐라라떼최고 2022. 12. 22.
반응형

RBC(Risk-Based Capital)라고 들어보신 분 계신가요? 저는 위키를 보다가 우연히 보게 되어 이에 관하여 간단히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차트를 보는 사람
출처 : pxhere

 

RBC(Risk-Based Capital) 비율은 무엇인가요?

RBC는 보험사의 재무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만약 보험에 가입한 고객이 보험금을 타려고 요청했을 때, 얼마나 줄 수 있는지 비율로 나타내는 척도인데요. 법으로는 100%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고, 금융감독원에서는 150% 이상을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것이 과연 왜 나왔을까요? 바로 보험사는 고객으로부터 매달 보험금을 받으면 통장에 가만히 넣어두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 돈으로 국채를 사거나, 채권을 매입하거나, 또는 고객 보장 상품들을 금융 상품으로 만들어 다른 금융기관 등에 판매를 통해 "투자"를 하기 때문입니다. 

 

투자를 잘했다면, 이득이 높겠죠? 그러면 고객들로부터 받은 보험금보다 많은 돈이 있을 것이고 이는 재무건전성 RBC 비율이 높을 것입니다. 만약, 투자를 잘못해서 손해를 봤다면 RBC 비율은 100% 이하로 떨어지게 될 것입니다. 그러면 더 이상 사업을 영위할 수 없기 때문에, 보험업을 경우 투자는 국가 채권과 같이 굉장히 안정적인 상품에 투자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