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달 음식을 식혀서 전자레인지에 데워서 먹으려면 보통 플라스틱 용기에서 유리 그릇으로 음식을 옮겨 담고 데우고는 하는데요. 이렇게 하는 이유는 환경호르몬이 플라스틱에서 나오기 때문입니다. 우리 몸에 좋지 않다는 환경호르몬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환경호르몬은 무엇인가?
보통 과학자들이 정의하는 환경호르몬은 "인간에게 흡수되면 내분비계 기능을 방해하는 유해한 물질"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보통 플라스틱은 인간이 인위적으로 만든 물질입니다. 열을 가하면 기존의 원료로 돌아갈 수 있죠. 플라스틱의 원료는 바로 원유, 기름인데요. 이러한 기름이 사람의 몸에 들어오면 당연히 좋지 않겠죠?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은 바로 플라스틱의 일종인 "비스페놀 A"입니다. 비스페놀류는 우리 몸에 흡수되면 성조숙증, 비만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합니다. 호르몬의 작용을 인위적으로 방해하기 때문에 어떠한 부작용으로 나타날지 결코 예단할 수 없다고 합니다.
환경호르몬의 진실
우리가 주변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플라스틱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입니다. 이러한 플라스틱 원료들은 환경호르몬 종류의 원료를 사용하지 않기에 실제로 뜨거운 상태로 사용해도 우리 몸에 무방하다고 합니다. 다만, 주변에 너무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이 있기에 함부로 사용하지는 말고 PE나 PP인 것을 확인하고 전자레인지에 사용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반응형
'잡다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란의 칼로리,계란 열량, 계란의 효능, 계란의 장점 (0) | 2023.01.07 |
---|---|
부르주아란, 마르크스의 부르주아, 프롤레타리아 (0) | 2023.01.06 |
매몰 비용의 오류(콩코드의 오류) (0) | 2023.01.04 |
깻잎의 역사, 깻잎의 특징, 깻잎의 효능 총 정리 (0) | 2023.01.03 |
새끼 강아지, 성견 강아지 감기의 원인, 증상, 치료법, 좋은 음식 (0) | 2023.0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