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2 스턴버그 사랑의 삼각형 이론 스턴버그 사랑의 삼각형 이론이란 무엇인가? 사랑에 대한 열정적, 온정적인 태도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심리학자 스턴버그는 다음 사랑의 삼각형 이론을 발전시켰는데요. 사랑을 세 가지 요소로 나누었는데요. 바로 열정, 친밀감, 헌신입니다. 스턴버그의 사랑의 삼각형 이론은 이에 관한 이론입니다. 열정 열정적인 감정, 신체적인 매력, 성적인 욕구를 증진하는 동기를 포함합니다. 열정은 사랑하는 사람과 신체적으로 하나가 되고 싶어 하는 욕망을 갖게 만듭니다. 상대방에 대한 열정의 감정은 마치 중독과 같아서 상대방이 곁에 없으면 견디지 못하고 상대방을 그리워하게 됩니다. 사랑하는 사람과 떨어져 있으면 상사병을 얻어서 상대방에 대한 강한 갈망을 일으키는 것이 열정입니다. 친밀감 상대방과의 정서적인 연결감을 말합니다. 즉.. 2023. 1. 28. 설단 현상이란, 설단 현상 유래 설단 현상은 무엇인가? 설단 현상은 특정단어나 사람 이름이 생각나지 않고, 입안에서만 빙빙 도는 현상을 가리키는 심리학 용어입니다. 단순히 입에서 맴돈다고 발음상의 실수는 아닙니다. 기억이 제대로 저장된 지 않았거나 긴장이나 억압 상태가 정보가 제대로 인출되지 않도록 억압을 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그런데 신기한 것은 누군가 작은 힌트만 주면 기억해내고 입에서도 나온다는 것입니다.가끔 어떤 연예인의 이름만 기억 안나고 어디 출연했는지, 어디 소속인지 등은 전부 알고 있는 경우가 있지 않으신가요? 이름도 비슷하게는 알 것 같지만 결국 모르는 그런 상태입니다. 그때 옆에 있던 친구가 성만 불러줘도 바로 이름이 생각나지요. 이것이 설단 현상입니다. 설단 현상의 유래 설단 현상은 1966년 하버드 대학.. 2023. 1. 27. 방관자효과란, 방관자 효과가 발생하는 이유 방관자효과란 무엇인가? 방관자 효과는 어려움에 부닥친 사람을 목격한 사람이 많을수록 오히려 도움을 주는 사람은 적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내가 아니더라도 다른 사람이 도와주겠지 하는 생각을 가지게 하기 때문입니다. 방관자 효과의 유래 이러한 현상을 연구하게 된 계기는 1964년 3월 미국 뉴욕의 한 주택가에서 벌어졌던 제노비스라는 여성은 밤늦게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다가 자기 아파트 앞에서 강도를 만나 살해되었습니다.이 사건과 관련하여 나중에 알려진 충격적인 사실이 있습니다. 강도는 35분 동안 그녀를 쫓아다니면서 세 차례나 칼로 찔렀는데, 이 과정을 무려 38명의 아파트 주민들이 숨죽여 보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시민들의 두런거리는 소리에 놀란 살인자는 잠시 모습을 감추었지만,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 2023. 1. 26. 호손 효과란, 호손 효과란 실험 호손 효과란 무엇인가? 호손 효과는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할 때 본래 의도나 성품과는 다르게 행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발표에 자신이 없던 아이도 학부모 참관 수업에서 부모가 보고 있다고 의식해서 손을 번쩍 들고 발표를 하는 등의 사례는 호손 효과로 볼 수 있습니다. 호손 효과 실험 미국 일리노이 주에는 호손 웍스라는 공장이 있었습니다. 이 공장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생산성 실험을 하여 발견한 현상이 있는데요.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근로자들은 연구자가 자신을 관찰하고 있다는 것을 의식하고 있었고, 그 결과 근무 환경 조건에 상관없이 높은 생산성을 보였습니다. 이 실험을 통해 물리적 조건과 더불어 심리적 요인도 작업 효율 향상에 중요한 동기 부여가 될 수 있음을 밝혔는데요. 이러한 심리학적 실험.. 2023. 1. 25.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31 다음 반응형